사단법인 한국건설안전기술협회

닫기
한국건설안전협회 메뉴
협회소개 협회소개
  • 인사말
  • 협회연혁
  • 조직도
  • 정관
  • 찾아오시는길
기술보유현황 기술보유현황
  • 인력현황
  • 장비현황
  • 인증,지정,허가서
사업현황 사업현황
  • 주요사업현황
  • 사업실적현황
교육신청안내 교육신청안내
  • 법정직무교육
  • 온라인교육
포토뉴스 포토뉴스
  • 협회동정
  • 회지발간소개
고객지원 고객지원
  • 부서별안내
  • 건설안전뉴스
  • 공지사항
  • 법령자료실
  • 기술정보실
회원전용 회원전용
  • 입회안내
  • 회원공지
  • 참여마당
  • 직장을구합니다
  • 일꾼을찾습니다
경력관리
마이페이지
로그인 회원가입 개인정보보호방침 이용약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찾아오시는길

고객지원

건설안전뉴스

2020년 국가안전대진단, 위험․취약시설 4만 8천여 개소 점검실시

  • 관리자
  • 2020-06-12
  • 4941

 

 

 

 

 

 

 

 

정부는 6 10일부터 7 10일까지 달간 2020 국가안전대진단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대진단은 어린이 보호구역과 학교시설 국민 관심 분야 비롯한 건설공사장·급경사지 위험시설을 중심으로 4 8천여 개소 대해 합동점검을 실시하고, 점검 결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한다는 계획이다.

 

2020년 국가안전대진단 개요❱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b08bc1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54pixel, 세로 570pixel

     : 20. 6. 10.() 7. 10.(), (31일간)

  참여기관 : 27개 중앙부처, 공공기관 등

  점검대상 : 건축물・시설물 등 48,097개소

  점검방법 : 합동점검 및 확인점검 실시

국가안전대진단 세월호 참사 우리 사회의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하고 국민 안전의식을 개선하고자 지난 2015년에 처음 도입했다.

  당초 올해는 2 실시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 감염병 확산 상황을 고려하여 잠정 연기되었다.

 

  하지만, 최근 이천 물류창고 공사장 화재 사고와 같은 반복 되는 위험․취약시설 관리에 대한 안전점검을 위해 추진하기로 하였다.

  다만,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 코로나19 대응과 방역 업무수행에 부담이 부처는 참여기관에서 제외할 예정이다.

아울러, 코로나19 대응의 최일선에서 업무부담이 지자체 참여 인력은 최소화하고 중앙부처와 소속기관 공사․공단 등의 인력을 활용하여 중점 추진 예정이다.

  특히, 안전점검 참여자에 대한 마스크·장갑 착용과 발열 확인 ’코로나19 대응 현장점검 수칙‘ 마련하여 점검 활동 감염병 예방에도 소홀함이 없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2020 국가안전대진단의 중점 추진사항은

  먼저, 안전점검의 실효성 강화를 위해 대국민 설문조사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국민 관심 분야를 발굴하고 최근 사고 발생 분야 여름철 취약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부처별 점검대상을 선정하였다.

위험요인

 

점검대상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abc197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7pixel, 세로 26pixel 어린이보호구역 34명 사망(최근 5년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f82d9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1pixel, 세로 47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abc197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7pixel, 세로 26pixel 어린이보호구역(16,912), 학교시설(20,099)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abc197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7pixel, 세로 26pixel 최근 안전사고 발생(이천 물류창고 화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abc197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7pixel, 세로 26pixel 물류·냉동창고 등 건설 공사장(1,138)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abc197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7pixel, 세로 26pixel 대규모 재난·사고 우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abc197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7pixel, 세로 26pixel 원자력 등 국가핵심기반시설(278)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abc197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7pixel, 세로 26pixel 노후 건축물·시설물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abc197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7pixel, 세로 26pixel 도로(242), 철도(199), 하천(56) 공동주택(77)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abc197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7pixel, 세로 26pixel 여름철 재해 및 사고 취약시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abc197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7pixel, 세로 26pixel 급경사지(744), 수상레저사업장(1,046)

   - 또한,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합동점검 방식으로 진행하고, 점검 실명제와 행안부 주관 정부합동점검단의 확인점검 통해 점검의 내실화를 유도한다.

 

  그리고 개선이 필요한 시설에 대해서는 부처별 예산에 반영하여 보수·보강을 추진하도록 하고 분기별 확인 통해 지속적으로 관리한다.

   - 특히, 올해 12월까지 구축되는 ‘국가안전정보 통합공개시스템* 통해 점검 결과를 국민에게 공개하고 기관별 상시 안전점검 결과도 23년까지 단계적으로 분야를 확대하여 공개할 계획이다.

    * 1단계(20) : 대진단+건축·전기·학교 등 14개 분야, 2단계(2123) : 소방·가스 등 19개 분야

  끝으로, 대진단 추진과 함께 국민안전의식 제고를 위한「대한민국, (안전)하자」캠페인* 실시하고 안전신문고를 통한 신고 독려한다.

 

김계조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코로나19 확산 방지와 함께 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도 중요한 만큼, 국가안전대진단을 실효성 있게 추진하고 철저한 후속 조치 통해 국민안전을 확보 있도록 노력하겠다.”라며,

  국민들께서도 국가안전대진단 기간 동안 안전신문고를 통해 안전위험 요소를 신고하는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부탁한다.”라고 말했다.